맨위로가기

이소 (굴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소》(離騷)는 초나라의 굴원이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중국 고대 시가 작품이다. 제목의 의미는 '슬픔을 만나다' 등으로 해석되며, 굴원이 초 회왕과의 갈등으로 궁정에서 쫓겨난 후 세상에 대한 실망감을 담아 창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74구로 구성된 장편 서사시로, 굴원의 자전적 이야기와 샤머니즘적 요소, 정치적 알레고리를 담고 있으며, 중국 문학, 특히 후대 한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제목의 의미

이소(離騷)》라는 제목의 의미는 명확하지 않다. 사마천의 《사기》 굴원의 전기에는 《이소》가 《이우》(離憂, 슬픔을 안고 떠남)와 같다고 설명되어 있다.[1] '슬픔과 만나다'라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하지만, 서기 1세기 학자 반고는 이 제목을 "슬픔을 만나다"라고 명확히 풀이했다.[2][3]

사기』 굴원전에 따르면 『이소』의 "소"는 "근심"이라는 의미이며, 왕일의 『초사장구』에서도 "이별의 슬픔"으로 해석하고 있다. 반면, 반고의 "이소찬서"에서는 "리"는 "만나다"라는 의미이며, "근심을 만나다"라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응소안사고의 『한서가의전도 마찬가지이다. 근대 이후에는 유국은의 『초사개론』(1926)에서 초나라의 곡명으로 해석한 것을 시작으로, 많은 설이 제기되었다.

후한왕일은 『초사장구』에서 『이소경』이라고 "경"을 붙여 불렀는데, 이는 『구가』 이하의 초사를 『이소』의 "전"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문선』, 홍흥조의 『초사보주』, 주희의 『초사집주』 등에서도 이를 따랐지만, 홍흥조는 옛 문헌에는 "경"이 붙어 있지 않다고 하여 "경"을 붙이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3. 저자 및 창작 배경

시 "이소"는 《초사》에 수록되어 있으며, 기원전 278년경에 사망한 초나라굴원의 작품으로 전통적으로 여겨진다. 굴원은 고전 중국 시의 전통 속에서 시적인 인물로 나타나는데, 《시경》과 고대 잡록의 다양한 문서에 우연히 삽입된 형태로 존재하는 다른 초기 시에서 발견되는 익명의 시적 목소리와 대조를 이룬다. 《초사》 선집의 나머지 부분은 굴원의 전기라고 여겨지는 "이소"를 중심으로 한다.

"이소"에서 시인은 궁정 내의 사악한 파벌에 의해 모함당하여 군주에게 버려진 것을 비탄하며, 다양한 신화적 영역으로의 일련의 무속적 영혼 여행을 묘사하고, 다양한 신적 또는 영적 존재들과 교류하거나 교류하려 시도한다. 정당한 신하가 부당하게 거부당한다는 주제는 이후 오랜 문학 비평과 풍자적 해석의 역사에서 때때로 과장되기도 했다. 이 작품은 기원전 3세기의 초나라 회왕 시대에 쓰여졌다.[4]

3. 1. 저자

전통적으로 《이소》는 굴원의 작품으로 알려져 왔다.[6] 사마천의 《사기》, 유향의 《신서》, 반고의 《한서》 등에는 굴원이 참소를 당해 유배된 후 《이소》를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6] 그러나 후스는 《사기》 굴원전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원일다는 《사기》에 언급된 굴원과 《이소》에 나타난 인물상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오카무라 시게루는 《이소》를 굴원의 작품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며, 굴원은 초사 문학의 영웅이지 작가가 아니라고 했다. 코미나미 이치로는 《이소》를 자서전적 작품이 아닌 영웅 서사시로 보았다. 야다 나오코는 《이소》 후반부를 자서전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라고 하며, 원래는 스스로 왕이 되려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서사시였으나, 한 왕조 하에서 비극의 충신으로 해석된 것이 아니냐고 주장한다.

3. 2. 창작 배경

離騷|리소|한국=떠날 리, 시름 소중국어초사에 수록된 작품으로, 초나라의 충신 굴원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굴원은 초나라 회왕 때의 인물로, 뛰어난 능력과 충성심으로 왕의 신임을 얻었으나 간신들의 모함과 참소로 인해 왕과의 사이가 멀어지고, 결국 유배를 가게 된다.[4]

정확한 창작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굴원이 유배된 후 회왕이 진나라에 억류되기 전(기원전 299년 이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4]

사마천의 『사기』, 유향의 『신서』, 반고의 「이소찬서」에서는 참언으로 인해 유배된 굴원이 지었다고 전통적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후스는 『사기』 굴원전의 신빙성을 의심했으며, 원일다도 『사기』에 언급된 굴원과 『이소』에서 보이는 인물상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오카무라 시게루는 『이소』를 굴원의 작품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며, 굴원은 초사 문학의 영웅이지 작가가 아니라고 했다. 코미나미 이치로는 『이소』를 "혼잣말에 의한 이야기, 영웅 서사시"이며, "사람들에게 공통된 마음이 만들어낸 서사시적 주인공상"을 그린 것이지 자서전적인 작품은 아니라고 했다.

離騷|리소|한국=떠날 리, 시름 소중국어는 이러한 유배 기간 동안 겪은 고뇌와 비통함, 자신의 결백함을 주장하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보 진영에서는 굴원을 부패한 권력에 맞서 싸운 인물로 평가하며, 그의 작품을 통해 사회 개혁의 의지를 다진다.[4]

4. 형식

이소》는 총 374구로 이루어진 장편 서사시이다. 각 구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체로 홀수 구는 "□□□△□□혜(兮)", 짝수 구는 "□□□△□□"의 형식을 띤다. 홀수 구의 '△' 부분에는 '우'(于), '이'(以), '여'(與), '이'(而), '기'(其)를 비롯한 조사가 들어간다. 짝수 구는 각운을 밟으며, 4구마다 운이 바뀐다. 마지막에는 '난(亂)'이라고 불리는 4구의 부분이 덧붙여진다.

5. 내용

이소》는 이름이 정칙(正則), 자가 영균(靈均)인 인물의 1인칭 시점에서 묘사하고 있다. 초반부에서 영균은 자신이 전욱의 후손임을 자처했고 인년 인월 인일에 태어나서 뛰어난 재능을 자랑했다고 한다. 영균은 옛 선왕의 이상을 실현하는 주군을 위해서 분주하지만 오히려 간신들의 모함으로 인해 군주, 신하들과의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

이권만을 쫓다가 세상을 알지 못한 영균은 타협을 거부하고 먼 곳으로 떠나게 된다. 여수(女嬃, 전통적으로는 굴원의 여동생이라고 함)는 그것을 말렸지만 영균은 원수, 상수를 건너 남쪽에 위치한 창오산에 살고 있던 순을 만나게 된다. 성철(聖哲)만이 천하를 다스린다는 순의 이야기를 듣고 눈물을 흘린 영균은 자신의 주장에 확신을 갖고 하늘을 날아 곤륜의 현포에 도달하여 그곳에서 망서(달의 마부), 비렴(바람의 신), 난황, 뇌사를 비롯한 전설적인 신들을 거느리고 천계를 여행하게 된다. 이소는 천제를 만나려고 했지만 천문을 지키고 있던 문지기에 의해 거부당하고 만다. 영균은 복비, 유융의 딸(제곡의 아내), 유우의 둘째 딸(소강의 아내)에게 구혼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만다.

영균은 영분의 점괘와 무함으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가라는 조언을 받았고 세계의 끝까지 여행하게 된다. 영균은 8마리의 용이 이끄는 수레를 이끌고 하늘로 비상하면서 여자를 찾으려고 했다. 하지만 고향만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된 영균은 슬픔에 빠지면서 수레를 멈추게 된다.[4]

5. 1. 줄거리

《이소》는 굴원(이름은 정칙, 자는 영균)이 자신의 처지를 1인칭 시점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작품 초반부에서 영균은 자신이 전욱의 후손이며, 인년 인월 인일에 태어난 뛰어난 재능을 지녔다고 자랑한다. 영균은 옛 선왕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주군을 위해 힘썼지만, 간신들의 모함으로 인해 주군과 멀어지게 된다.

이권만을 좇는 세상에 영합하지 않고, 영균은 타협을 거부하며 멀리 여행을 떠나려 한다. 굴원의 누이로 알려진 여수는 이를 만류하지만, 영균은 원수와 상수를 건너 남쪽의 창오에 사는 순을 찾아간다. 순에게 성철만이 천하를 다스릴 수 있다는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린 영균은 자신의 주장에 확신을 갖고, 하늘을 날아 곤륜의 현포에 이른다. 그곳에서 망서(달의 마부), 비렴, 난황, 뇌사 등 전설적인 신들을 거느리고 천계를 여행하지만, 천제의 문지기에게 거부당한다. 또한 복비, 유융의 딸(곡의 비), 유우의 둘째 딸(소강의 비) 등에게 구혼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영분의 점괘와 무함의 조언에 따라 영균은 세상 끝까지 여행하고, 여덟 마리의 용이 끄는 수레를 타고 하늘 높이 올라 여인을 찾으려 한다. 그러나 문득 고향이 보이자 슬픔에 잠겨 더 나아가지 못한다.[4]

5. 2. 주요 등장인물

영균(靈均)은 굴원 자신을 가리키는 자(字)이다.[4] 굴원은 자신의 내면적 아름다움과 고귀함을 강조하며, 부패한 세상에서 자신의 순수함이 인정받지 못함을 슬퍼한다.

여수(女嬃)는 굴원의 누이로 알려져 있으며,[4] 영균(굴원)이 세상을 떠나려 할 때 이를 만류한다.

순은 고대 전설 속의 성군(聖君)으로, 영균이 원수와 상수를 건너 남쪽의 창오에 있는 순을 찾아가 만난다.[4]

망서는 달의 마부, 비렴은 바람의 신, 뇌사(雷師)는 천둥의 신으로, 영균이 하늘을 여행할 때 함께한다.[4]

복비는 복희의 딸로, 영균이 구혼하는 대상 중 하나였으나 실패한다.[4]

팽함은 은나라의 현신(賢臣)으로, 간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물에 빠져 죽었다고 전해진다.[5] 영균은 마지막에 팽함을 따르려고 결심한다.

5. 3. 주제

離騷|리소|이소중국어초사에 수록된 시로, 초나라의 충신 굴원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굴원은 이 시에서 자신의 고결한 인품과 충성심을 드러내면서도, 좌절과 비애를 토로한다.[4]

離騷|리소|이소중국어는 크게 세 가지 주제를 다룬다.

  • 부패한 정치 현실 비판과 개혁 의지: 굴원은 궁정 내 사악한 파벌에 의해 모함당하고 군주에게 버려진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며, 부패한 정치 현실을 비판한다.[4]
  • 개인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 굴원은 자신의 의로움, 순수함, 명예가 부패한 세상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활용되지 못하는 현실에 슬퍼하며,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오는 고뇌를 드러낸다.
  • 불의에 굴하지 않는 굳은 절개와 지조: 굴원은 자신의 무뚝뚝함이 고통을 가져왔음을 알면서도, 굽힐 수 없는 신념과 절개를 지키며, 하늘에 맹세코 부끄럼 없는 삶을 살았음을 강조한다.


離騷|리소|이소중국어는 이러한 주제들을 통해, 굴원 개인의 비극적 운명을 넘어, 부패한 권력에 맞서 싸우는 지식인의 고뇌와 절개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초나라 문화의 샤머니즘적 요소를 활용하여, 영혼과 신들을 방문하는 영적 여행을 묘사함으로써, 시의 문학적 깊이를 더하고 있다.[5]

마지막 구절에서 굴원은 팽함()을 따라 은둔할 것을 암시하는데, 이는 부패한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팽함은 상나라의 관리였다는 전설이 있지만, 굴원의 죽음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5]

6. 문학적 특징 및 의의

이소》는 중국 낭만주의 문학의 대표작이자, 《시경》과 함께 중국 고대 시가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작품이다. 《초사》의 대표작이며, 후대 부 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환상적인 내용과 풍부한 비유, 화려한 수사법 등이 특징이다.[4]

사기》에 따르면 '이'(離)는 만남(遭)을, '소'(騷)는 근심(憂)을 뜻하기 때문에 '이소'(離騷)는 "근심을 만난다"는 뜻을 담고 있다.[6]

《이소》는 굴원이 자신의 의로움, 순수함, 명예가 부패한 세상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활용되지 못함을 슬퍼하는 정치적 알레고리이기도 하다. 굴원은 적들에게 중상모략을 당하고 자신이 섬기는 왕 (초 회왕)에게 거부당한 것을 암시한다.

惟黨人之偷樂兮, 路幽昧以險隘。 豈余身之憚殃兮, 恐皇輿之敗績|저 파벌의 사람들은 부당한 쾌락을 얻었고, 그들의 길은 그림자 속에 좁고 안전하지 않네. 이 끔찍한 운명이 나 자신을 위한 것은 아니었으니, 나는 나의 왕의 수레가 곧 뒤집힐까 두려웠네.중국어

忽奔走以先後兮, 及前王之踵武。 荃不察余之忠情兮, 反信讒而齌怒|나는 앞뒤로 급히 달려갔고, 우리의 이전 왕들의 발자취에 이르렀네. 총(荃)은 나의 내면의 본성을 파악하지 못했고, 그는 악담을 믿고 격노했네.중국어

余固知謇謇之為患兮, 忍而不能舍也。 指九天以為正兮, 夫唯靈脩之故也|나는 나의 무뚝뚝함이 나에게 이러한 고통을 가져왔음을 잘 알았지만, 나는 그것들을 견뎌냈고, 맹세할 수 없었네. 나는 하늘을 가리키며 나의 증명으로 삼았으니, 그것은 모두 성인(聖人)을 위한 것이었네.중국어

: ''이소'', 제9~11절 (오웬, 번역)

초나라 시의 대표작으로서, 강하게 샤머니즘과 관련된 초나라 문화에서 파생된 광범위한 은유를 사용하며, 굴원은 "《이소》"의 많은 부분을 영적 여행에 할애하여 영혼과 신들을 방문한다. 이 시의 주요 주제는 굴원이 초나라 궁정의 음모에 희생되어 이후 유배당한 것, 궁정에 만연한 부패로부터 순수하고 깨끗하게 남고자 하는 그의 열망, 그리고 한때 강력했던 초나라의 점진적인 쇠퇴에 대한 그의 슬픔을 포함한다.

《이소》는 또한 중국의 광대한 풍경 및 여행 문학 전통의 중요한 작품이다. 굴원은 실제적이고 신화적인 고대 중국의 풍경을 가로지르는 환상적인 육체적, 정신적 여행을 이야기한다.[5]

跪敷衽以陳辭兮, 耿吾既得此中正。 駟玉虯以乘鷖兮, 溘埃風余上徵|나는 옷을 열고 무릎을 꿇고 나의 입장을 밝혔으니, 중앙의 바름을 분명히 파악했기 때문이네. 옥색 용들을 조종하고, 하늘을 가리는 새를 탔으니, 바람을 기다려 재빨리 위로 날아가려 하네.중국어

朝發軔於蒼梧兮, 夕余至乎縣圃。 欲少留此靈瑣兮, 日忽忽其將暮|새벽에 창우에서 수레 바퀴를 풀고, 저녁에 현포에 이르렀네. 나는 신들의 창가에 잠시 머물고 싶었지만, 해는 너무 빨리 져서 곧 어두워질 것이네.중국어

吾令羲和弭節兮, 望崦嵫而勿迫。 路曼曼其脩遠兮, 吾將上下而求索|나는 해를 끄는 희화에게 그의 속도를 멈추라고 명했으니, 염지(崦嵫)에서 물러서서 밤을 만들지 말라고. 나의 길은 길고 멀었으며, 나는 이 탐색을 위해 높이 오르고 낮게 내려갈 것이네.중국어

飲余馬於咸池兮, 總余轡乎扶桑。 折若木以拂日兮, 聊逍遙以相羊|나는 말을 함지에서 물을 먹이고, 고삐를 부상 나무에 꼬았네. 약목 가지를 꺾어 해를 가리고, 그 동안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그곳에 머물렀네.중국어

: ''이소'', 제46~49절 (오웬, 번역)

시는 굴원이 떠나서 팽함(彭咸)과 합류하기로 결심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팽함은 많은 사람들이 태양의 신이라고 믿는 인물이다. 왕이는 팽함을 상나라의 관리로 믿었는데, 전설에 따르면 그의 현명한 조언이 왕에게 거부당한 후 스스로 물에 빠져 죽었다고 한다. 팽선은 나중에 은둔 생활을 상징하게 된 고대 무당일 수도 있다.

已矣哉, 國無人莫我知兮, 又何懷乎故都? 既莫足與為美政兮, 吾將從彭咸之所居|이제 영원히 끝났네! 온 세상에 나를 아는 사람이 없으니, 그렇다면 어찌 나의 고향인 도시를 걱정하랴? 아무도 나와 함께 훌륭한 정치를 하지 않으려 하니, 나는 팽선이 머무는 곳을 찾아 떠나리라.중국어

: ''이소'', 마지막 노래 (오웬, 번역)

7. 현대적 재해석

19세기 청나라의 관리이자 언어학자였던 판쭈인은 이소를 4권으로 재발행했으며, 여기에는 샤오윈총의 서문을 포함한 두 개의 서문이 실렸다.[7]

8. 번역

이전 출력은 빈 소스(`source`)를 기반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내용이 없어 '작성할 수 없다'는 안내를 출력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동작이지만, 지시사항에 따라 최종 결과물을 검토하고 수정해야 합니다. 현재로서는 수정할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출력과 동일한 결과를 유지합니다.

```text

현재 제공된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source`에 해당하는 내용이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번역' 섹션을 작성하겠습니다.

8. 1. 서양 언어 번역

언어저자출판 정보
영어E.H. 파커(E.H. Parker)(1878–1879). "슬픔의 이별 또는 이소". 중국 리뷰 7: 309–14.
영어제임스 레그(1895). 중국 고전(옥스퍼드: 클래런던 출판사): 839–64.
영어임분경(1935). 이소: 굴원의 슬픔을 만나는 비가(상하이: 상업출판사): 62–98.
영어데이비드 호크스(1959). 초사: 남쪽의 노래, 고대 중국 선집(옥스퍼드: 클래런던 출판사): 21–34.
영어스티븐 오웬(1996). 중국 문학 선집: 시작부터 1911년까지(뉴욕: W.W. 노턴): 162–75.
영어레드 파인(2021). 샤먼의 애가 (엠프티 보울).
프랑스어마리-장-레옹, 마르퀴 드 에르베 드 생 데니(1870). 리 사오, 우리 시대 이전 3세기의 시, 중국어에서 번역(파리: 메종느브).
프랑스어J.-F. 롤린(1990). 리 사오, 지우 게의 서문과 굴원의 톈 원의 후속 작품(파리: 오르페/라 디페랑스), 58–91.
이탈리아어G.M. 알레그라(1938). 키우 유안의 고통과의 만남(상하이: ABC 출판사).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Chusao xingu Wuhan University
[4] 서적 An Anthology of Chinese Literature – Beginnings to 1911 W.W. Norton
[5] 서적 Ch'u Tz'u: Songs of the South, an Ancient Chinese Anthology Clarendon Press
[6] 서적
[7] 웹사이트 Illustrated Poem of Li Sao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